작성일 : 21-02-14 19:46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글쓴이 : 진주꽃
조회 : 30  





백년전쟁기의 군사혁명의 문제를 다루는 '클리포드 로저스'에 따르면,

대포가 최초로 사용된 것은 1326년이라 할 수 있고, 

작은 크기의 대포는 차츰 대형화되어, 성을 공격하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이탈리아 전역.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이탈리아 전역 대포.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1494년부터 1506년에 걸친 이탈리아 전쟁에서, 

샤를 8세가 이끄는 프랑스군이 이탈리아의 도시 요새를 횡으로 방렬해 포격함으로써,

유럽 전쟁 양상의 변화를 알렸다. 




흔히 알려진 유럽에서의 대포 발달 및 보급과 비교해 볼때,

일본에서의 대포의 발달은 크게 뒤쳐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본 역사상 대포의 첫 출현은 1560년으로,

1543년의 화승총의 전래에 비해 17년이나 늦습니다.


또한 철포가 크게 보급된 것에 비하여, 

대포는 일반적으로 별로 활용되지 못했습니다.


석화시.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일본이 맨처음 접한 대포의 종류인 석화시(불랑기포)

일본의 대포 사용이 적은 이유로,

일본이 맨처음 접한 대포가 석화시이기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다.

(원래 육지에서 쓰이는 무기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사용되었던 예



물론 일본인들이 대포의 위력을 몰랐던 것은 아닙니다.

당시 대포들이 공성전에 사용된 경우는 적지 않았습니다.

아리마군이 대포 2문으로 시마바라성을 포격한 예,

고니시 유키나카가, 성 주위 호수에 배를 띄워, 그곳에서 성을 포격한 예,

쵸소카베군이 대포 2문으로, 오다와라를 포격한 예,

도쿠가와군이 대포 1문으로 담과 성루를 무너뜨려, 그곳으로 돌입한 예,

등등


일본의 공성전에서도, 대포가 효과적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있었으며,

결국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겨울 오사카 전투 때 대포 300문을  동원하였습니다.



오사카 겨울의 전투.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오사카 전투에서, 그렇게 많은 대포가 사용되었던 것은,

자신의 피해를 최소화 시키려고 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목적이 큰 이유였다.




하지만, 오사카 전투 같은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고,

공성전에서의 대포 사용 빈도나,

사용될 때의 대포의 수는, 절대적으로 적으며,

일본 전국시대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습니다.


화약의 대량 사용이 대포의 사용을 방해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전국시대 말까지 전국적으로 초석의 생산이 이루어졌다는 사실과,

당시 세계적인 은 산출국이었던 일본에서는

'외화난'이라는 장애가 없어,

초석의 수입은 크게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운반의 불편성


일본말이 약하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따라서, 당시 일본에서는 대포를 순전히 인력으로 운송하였습니다.

오오토미가 대포가 수입했을 당시,

대포를 나무위에 실어, 사람이 나무를 굴리며 운송했다는 것이나,

도쿠가와군에서는 대포를 '28명 운반'으로 표기하는 예로부터 알 수 있습니다.



유럽에는 소형포임에도 말 3마리, 대형포의 경우에는 말 10마리가 운반하였습니다.

말 자체가 지위의 상징이었던 일본에서는 불가능한 일이죠.


운송수단.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18파운드 포탄을 발사하는 캘버린포는 무려 말 16마리가 운용하였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5kg에 불과하는 포탄을 발사하는 소형포에도,

대규모 인력에 의해 운반되었으며,

대형포의 경우에는 이동자체가 불가능 하였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그럼 말을 더 많이 이용해서 운송하면 되지 않겠느냐 할 수도 있겠지만,

당시 일본에서는 말이 굉장히 비쌌기 때문에,

말들을 집단적으로 운용하는 체계가 이루어 지지 못했으며,

그 말들을 집단훈련하는 것조차도 미숙했습니다. (집단으로 쓸 일이 없었기 때문에)

그 비싼 말들을 대량으로 대포 하나 옮기는데 쓸 여유도 없었고요.


오사카 여름의 전투.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오사카 여름의 전투 병풍도.

오사카 겨울의 전투에서 대포 300문을 동원한 도쿠가와는

300문을 모으는데 드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컸는지,

반년뒤의 오사카 여름의 전투에서는 대포 사용의 예를 찾아볼  수 없다.


말을 이용해 견인해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은 19세기까지 이어져,

본격적으로 말이 대포를 견인하기 시작한것은

서양 말과, 말들의 훈련체계를 수입하는 메이지 시대 이후부터였습니다.


이런 운반의 불편함 때문에, 대포는 적지 않게 해상으로 운송되었으며,

아예 해상에서 포격을 통해, 성을 공격하기도 했습니다.


세키가하라.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세키가하라 전투 병풍도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가한 쵸소카베 군은,

성내에 대포 9문이 있음에도 불고하고,

성에 그 대포들을 놔두고, 전투에 참가했다.



대포의 영향을 받지 못한 일본의 근세 성곽



서양의 경우, 대포에 의해 기존의 돌로 된 성곽이 무력해지면서,

포격에 대응하기 위해, 높이는 더 낮게, 두께는 더욱 두껍게 변했습니다.

또한 당시 원형탄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흔히 흙을 이용한 토공이 사용되었습니다.


성형 요새.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성벽이 낮으면, 적이 접근하는 것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성 벽면에 붙은 적을 공격하기 위해 튀어나온 능보를 설치하고, 호를 둘러쌌다.

일본의 성곽또한, 능보와 엄청난 해자로 유명하지만,

대포로 인한 영향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이러한 서양의 축성 변화와 달리,

일본에서 높은 석담고, 담 성루를 더욱 더 쌓아올렸기 때문에,

서양의 근세 요새들과 대조적으로 현저하게 높은 구조를 띄었습니다.


오히려 철포가 일본 성곽에 끼친 영향이 지대하지만, 

철포에 대한 얘기는 다음에 따로 자세하게 다룰 것이기 때문에,

지금 다루지는 않겠습니다.


에도 성.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능보, 보루, 해자의 삼중의 선은 견고하며, 거의 난공불락으로 보이지만,

이를 포격에 대한 방어라는 관점에서 볼 경우,

기본적인 원칙을 알지 못한 채 축성했던 것이 분명하다. "


영국의 초대 주일공사 올콕(Alcock)이 에도성을 보며



임진왜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하고, 조선을 침공하면서 임진왜란이 시작됩니다.

조선의 도로가 일본의 도로보다 열악하여, 대포의 육상 수송이 어려워지고,

바다에서는 이순신이란 존재 때문에, 해상 수송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일본은 임진왜란에서의 대포 사용의 어려움은 컸지만,

오히려, 화력 덕후였던 조선은 수많은 대포로 일본을 압박했습니다.



조선의 도로.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조선의 산지에서 대포를 사람 힘으로 끌던지,




이순신.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아니면, 이 분을 바다에서 이기던지 




오사카 전투 같은 특이케이스를 제외하고,

보통 공성전에 대포 2,3문 정도로 폭격하거나,

2주 내내 쏘아, 400여발을 쏘는 것이 보통이었던 일본에게,

조선의 화포 사용량은 큰 충격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임진왜란 도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으로,

일본 내에서의 대포가 활발히 제작되었습니다.

이 덕분에 정유재란 시기 일본이 한반도 남쪽에 세운 '왜성'에는

오히려, 일본 국내의 성보다, 대포를 쏠 수 있게끔 신경썼고,

해안포도 많이 배치되었습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대포를 만들라는 명을 받았으며,

그렇게 다수의 대포를 주조할 수 있는 시설과 노하우를 얻게 되었다.

그 결과가 바로 임진왜란 후, 도요토미 가문을 향한 300문의 대포였다. 




다만 여전히, 도로의 열악함과, 이순신의 존재, 운송수단의 부재로

야전에서는 활발히 사용될 수 없었습니다.


1593년의 평양성전투와, 진주성 전투,

1597년 울산성 전투에서,

수많은 화포로 공격하는 조명연합군에 대항하여,

일본군은 철포로 밖에 대응할 수 없었습니다.




결국은 또 일본말



말 비교.PNG 일본에서는 왜 대포사용이 적었을까?


일본 전국시대의 대포 사용은 다른 나라에 비해 극히 적었으며,

운용된 대포도 대부분 소형포였습니다.

결국 이러한 원인은 대포를 끌어야 하는 일본말의 질이 좋지 않은데 기인한

대포 운송의 곤란함 때문이었습니다.